**전문은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www.kcce.or.kr/web/board/1485.do?mode=view&schBcode=&schCon=&schStr=&pageIndex=1&pageUnit=20&idx=54492
|
“전문직업인 되기 위해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선택했어요”
o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 “네이버”입사 이은비(25세)씨
o 중소기업 비서에서 대기업‘삼정 KPMG’회계직 이직 문현정(27세)씨
o 보건직 공무원(9급)에서 ‘보건 연구사’로 능력 UP 김수인(30세)씨
o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중운어워드(Jungwoon Award)상 수상 손혜주씨(27세)
o 제과제빵 기술직에서‘지점 컨설팅 및 기술 교육’직업 전환 김진겸씨(27세)
|
O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이하 전문대교협)은 2023년을 맞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하 전공심화과정) 입학&졸업생들의 다양한 취업 사례와 전공심화과정의 학과 간 융복합교육과정 등을 발표했다.
- 전공심화과정은 전문대학 졸업자에게 실무와 연계된 직업 심화교육 기회를 통해 전문기술인력 양성 및 학사학위를 수여하는 전문대학만의 교육제도이다.
※ 근거 : 고등교육법 제49조, 제50조의2/ 동법시행령 제58조의2~제58조의4
O 전공심화과정 융·복합 과정은 “열정에 불쏘시개와 같은 역할”
부산보건대학교 호텔제과제빵학과 김진겸(27세)씨는 전문학사 재학 중 군 제대 이후 복학을 하지 않고 바로 취업을 했다. 베이커리 업계에 근무하면서 향후 진로에 대해 고민했고 다시 학교로 돌아오기까지 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현재 ’더네스트커피‘의 ’지점 컨설팅 및 기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김진겸 씨는“제과제빵 관련 교과목만이 아닌 경영 관련 교과목 수업은 창업 교육을 위한 뼈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김 씨는 “지금 수업 중인 전공심화과정의 제과제빵기술 및 경영학과 간 융복합교육과정을 통해 커피 창업 분야 교육자로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었다”며 졸업 소감을 밝혔다.
O 남성희 전문대교협 회장은 “전공심화과정은 산업계 요구에 기반한 현장중심 실무교육으로 일반대학 64.2%(2022년 기준)대비 전공심화과정 졸업자 78.1%(2022년 기준)의 높은 취업률은 주목할 만하다”고 말하고 “2008년 도입된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그동안 약 12만 명(’23.2월 기준)이 배출되어 사회 전반에서 전문직업인으로 자신의 역량을 각 영역에서 더 크게 발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 회장은 “특히 15년 동안 진행된 ‘전공심화과정’은 기업의 전문대학생 채용 인식 변화와 신규 채용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말하고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전문대학은 앞으로도 전문기술인재를 더욱 양성하여 대한민국 고등직업교육 발전과 학생들의 자기 발전에 버팀목이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끝)